본문 바로가기
국어

소설의 구성 3 요소 + 우리나라 소설 타임라인

by milife 2023. 3. 28.

먼저 소설을 읽을 땐

1. 인물들 간의 관계

2. 서술자의 위치

3. "대사 중심"으로 읽어라!

 

1. 인물

주동 주인공

vs

반동 빌런

 

전형적 (신분/계층을 대표)

vs 

개성적 

 

평면적 (성격 안변함)

vs

입체적 (스토리 전개에 따라 변함)

 

주로 고전 소설에서 주인공은 전형적이며 평면적이고

현대 문학에서는 개성적이며 입체적이다

 

2. 사건

3. 배경

특징 : 인물의 심리 상태와 밀접

역할

작품의 분위기나 정조를 형성

주제를 뚜렷하게 드러냄

주로 묘사에의해 설정되며 현장감을 유발

사건 전개를 암시하는 역할

 

 

 

우리 나라 소설의 타임라인

가장 먼저 설화 → 패관문학

설화가 구담, 신화, 전설 그리고 민담으로 나뉘고

길거리에 떠도는 얘기를 수집한 패관문학으로 거듭남.

 

패관 문학 → 가전체와 수필 그리고 다시 고전소설과 판소리계 소설로 나뉨

설화와 서사시가 활발히 수집, 정리되며 창작되면서 가전체 작품이 출현하였는데. 패관 문학이 민간에 떠돌던 이야기를 수집해 약간의 살을 덧붙인 반면 가전체 문학은 허구적이고 창의적인 개인 창작물로서 소설에 한 단계 접근.

가전체는 설화와 소설을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했고, 김시습의 <금오신화> 등 고전 소설 탄생의 토양이 되었다.

 

판소리계 소설  → 각색하며 인물도 늘고 스토리도 길어지면서 점층 문학 탄생

                          [도미설화, 열녀설화, 관탈민녀설화, 신원설화]가 판소리 <춘향가>로, 다시 고전소설 <춘향전>으로,

                          그리고 각색되어 신소설 <옥중화>가 됨

 

고전소설(김시습) → 한글 소설 (김만중, 박지원, 허균)

←개화기→ ←강점기 (~40년)  ←전쟁 (~60년) → 
계몽주의
신소설
  전후소설
주된 내용은 "공부하자"
<무정>은 최초의 근대적 장편소설로 운문체 탈피와 구어체를 통한 언문일치 확립
  "전쟁의 의미"
그 중 <광장>은 전후 소설의 마침표 역할
(이데올로기가 사람을 얼마나 피폐하게 만드는지 보여줌)

 

 

<금수회의록>과 고전 소설의 차이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인간상이 제시되었다.
2. 현실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다
3. 동물을 의인화한 우화 소설이다.
4. 언문일치에 접근한 문체를 보여준다.
5. 국권수호와 자주 의식을 고취하려 한다.

 

 

정답 3번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출 합성어 & 파생어 그리고 틀린 문제  (3) 2023.04.02
품사 문제 오답정리  (0) 2023.04.01
언어의 특성  (0) 2023.04.01
관형사 vs 관형어  (0) 2023.03.20
오답 복습_양성/음성모음, 본말/준말  (0) 2023.03.20